반응형
ISA 계좌는 단순한 세금 혜택을 넘어 연금 계좌와의 연계를 통해 강력한 절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. 지금 시작하면 나중에 후회 없는 자산 운용이 가능합니다.
ISA 계좌란? 핵심 개념과 특징 정리
ISA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의 약자로, 일정 기간 자산을 운용하면 비과세 및 저율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절세 계좌입니다.
- 의무 가입 기간은 3년이며, 이 기간이 지나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만기 연장 가능: 최대 80년까지 설정 가능하며, 길게 잡아야 장기 운용 시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- 세제 혜택:
- 비과세 한도: 서민형 400만 원, 일반형 200만 원
- 초과 이익 분리과세: 9.9%로 일반 금융소득세(15.4%)보다 낮은 세율 적용
- 과세 이연 효과: 투자 수익에 대해 세금을 즉시 내지 않고 재투자 가능 → 복리효과 극대화
- 연간 납입 한도: 2천만 원, 미사용 한도는 이월 가능
ISA 계좌에서 운용하면 좋은 투자 상품은?
ISA 계좌 안에서도 어떤 상품을 담느냐에 따라 절세 효과가 달라집니다.
✅ ISA에 유리한 투자 상품
- 국내 주식 배당금 목적 투자
- 배당소득세를 과세 이연 및 비과세 처리 가능
- 국내 상장 해외 ETF
- 해외 주식 투자와 유사하지만, ISA 안에서는 금융소득 종합과세 및 건강보험료 부담 없음
- 예금
- 일반 은행 예금보다 ISA 내 예금이 세금 측면에서 유리
❌ 굳이 ISA에서 안 해도 되는 투자
- 국내 주식 매매 차익
- ISA 외부 계좌에서도 비과세
- 국내 상장 ETF 매매 차익
- 마찬가지로 비과세이므로 ISA에서 굳이 운용할 필요는 없음
ISA 계좌와 연금 계좌, 어떻게 연계해서 활용할까?
ISA 계좌는 연금 계좌와의 연계를 통해 훨씬 강력한 절세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.
▶ ISA → 연금 계좌 이전 방법
- ISA 만기 시 해지 후 세후 금액 수령
- 이 자금을 연금저축 또는 IRP로 한도 제한 없이 이전 가능
- 이전 금액의 10%에 대해 추가 세액 공제 가능
- 최대 300만 원 한도
- 기존 세액 공제 한도 900만 원과 합산 시, 최대 연간 1,200만 원 공제 가능
▶ 연계 전략 예시
- 젊은 층: ISA에서 목돈 마련 후 연금 계좌로 이전 → 다시 ISA 새로 개설
- 50대 이상:
- 연금저축 연간 1,800만 원씩 5년
- ISA에 총 1억 납입 후 연금 계좌로 이전
- 5년 만에 총 1억 9천만 원의 연금 자산 확보 가능
ISA 계좌는 가능한 빨리 개설하는 것이 유리한 이유
ISA 계좌는 **"일단 개설부터 해두는 것이 유리한 상품"**입니다.
- 한도 축적 시스템
- 가입만 해두고 실제 납입을 하지 않더라도
- 미사용 한도가 이월되어 쌓임
- 예시:
- 2024년에 1만 원만 입금 후 방치
- 2028년에는 누적 한도 1억 원
- 이때 목돈을 한 번에 ISA에 넣고, 운용 후 연금 계좌로 이전 가능
ISA 계좌는 연금 전략의 시작점
ISA 계좌는 단순히 절세 계좌 그 이상입니다.
연금 계좌와 함께 전략적으로 운용하면:
- 세금 부담을 줄이고
- 복리 효과로 수익을 키우며
- 노후 준비까지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.
아직 ISA 계좌가 없다면, 지금 당장 개설부터 시작해보세요.
이자도 배당도 절세도 시간 싸움입니다.
💬 이 글이 유익했다면, 이어서 읽어보세요:
→ [ISA 계좌 vs 연금저축 계좌, 어떤 게 더 유리할까? 상황별 선택 기준 총정리]
반응형